강조: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
||
19번째 줄: | 19번째 줄: | ||
|참전= [[고려-거란 전쟁]] |
|참전= [[고려-거란 전쟁]] |
||
}} |
}} |
||
'''강조'''(康兆, [[ |
'''강조'''(康兆, [[964년]] ~ [[1010년]] [[12월 31일]]([[음력 11월 24일]]))는 [[고려 시대]]의 무장이다. [[황해도]] 태생으로, [[신천군|신천]] 지방의 호족 출신이다. 본관은 [[신천 강씨|신천]](信川). [[고려 태조|태조 왕건]]의 22번째 부인이었던 [[신주원부인]]의 친정 일족이다. |
||
[[1009년]] [[2월]]부터 [[1010년]] [[11월]]까지 [[현종 (고려)|현종]] 임금을 보좌하여 [[섭정]]을 맡았다. [[목종 (고려)|목종]]을 폐하고 [[현종 (고려)|대량원군 순]]([[현종 (고려)|현종]])을 세우는 과정에서 [[거란족]]에게 포로로 끌려가 사형 집행되었다. |
[[1009년]] [[2월]]부터 [[1010년]] [[11월]]까지 [[현종 (고려)|현종]] 임금을 보좌하여 [[섭정]]을 맡았다. [[목종 (고려)|목종]]을 폐하고 [[현종 (고려)|대량원군 순]]([[현종 (고려)|현종]])을 세우는 과정에서 [[거란족]]에게 포로로 끌려가 사형 집행되었다. |
2023년 12월 8일 (금) 00:00 판
강조
康兆 | |
---|---|
고려의 이부상서 및 참지정사 | |
임기 | 1009년 ~ 1010년 |
군주 | 고려 현종 |
이름 | |
별명 | 초명(初名): 진형(進刑) |
신상정보 | |
출생일 | 미상 |
출생지 | 고려 황해도 신천 |
사망일 | 1010년 12월 31일 |
사망지 | 요나라 동경 요양부 |
국적 | 고려 |
본관 | 신천(信川) |
부모 | 아버지: 강태주(康泰周) |
군사 경력 | |
복무 | 고려군 |
주요 참전 | 고려-거란 전쟁 |
강조(康兆, 964년 ~ 1010년 12월 31일(음력 11월 24일))는 고려 시대의 무장이다. 황해도 태생으로, 신천 지방의 호족 출신이다. 본관은 신천(信川). 태조 왕건의 22번째 부인이었던 신주원부인의 친정 일족이다.
1009년 2월부터 1010년 11월까지 현종 임금을 보좌하여 섭정을 맡았다. 목종을 폐하고 대량원군 순(현종)을 세우는 과정에서 거란족에게 포로로 끌려가 사형 집행되었다.
생애
생애 초반
강조는 강장자 가문 사람인 강태주(康泰周)의 아들로 태어났다. 강태주는 태조 왕건의 먼 외척으로 강호경과 강충, 강보전의 후손이었으나 가계가 불분명하다.
강조가 태어날 무렵 그의 일족 중에서도 왕비가 나왔다. 태조 왕건은 자신의 먼 외척이기도 한 신천의 호족 강기주(康起珠)의 딸을 22번째 부인인 신주원부인으로 삼았다. 강조는 신주원부인의 친정 일족이었다.
관료 생활
그는 983년 성종 임금의 하급 궁료(下級 宮僚)로 천거된 이후 991년에 무관(武官)으로 관직에 본격 출사하였으며 997년 고려 제6대 군주인 성종이 후계를 이을 아들 없이 죽고 목종이 보위에 오르자, 이때 왕의 나이가 아직 18세임에도 불구하고 모후인 천추태후가 섭정을 하게 됨에 따라 외척이 다시 등장하기 시작했다. 앞서 천추태후와 추문을 일으켜 유배되었던 김치양도 다시 불려와 중용되었다. 김치양은 마음대로 정치를 하면서 1003년 천추태후와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을 목종의 후계자로 삼으려고 했다. 이때 그는 여러 관직을 거쳐 중추사 우상시로 있었으며 외직으로 나가 서북면도순검사가 되었다.
목종이 병석에 누워 있으면서 김치양의 계획을 알고 황보유의를 파견하여 대량원군 순을 맞아 오게 하고 또 전중감 이주정이 김치양에게 아부하는 것을 알고 임시로 그를 서북면 도순검부사로 임명하여 보내면서 즉일로 강조를 다시 궐내로 불러 들여 숙위 하도록 하게 했다.
생애 후반
1009년 1월에 목종은 대량원군 순을 후계자로 삼고, 궁궐 수비를 위해 중추사 우상시 겸 서북면 도순검사인 강조에게 개경의 궁궐을 수비케 하였다.
이때 세간(世間)에서는 목종이 위독한 틈에 김치양 등이 나라를 빼앗으려 한다는 풍문이 돌았다. 이윽고 왕이 죽었다는 헛소문이 전해지자 강조는 군사 5천명을 거느리고 오던 도중, 평주(平州 : 지금의 황해도 평산)에서 왕이 아직 죽지 않았다는 보고를 듣고 한때 주저했으나 부하 장수들과 회의한 뒤 개경으로 들어가 목종을 퇴위시키고 2월 3일 대량원군을 왕으로 삼았다. 이와 함께 김치양 부자를 죽이고 태후와 그 무리들을 귀양보냈으며, 양국공(讓國公)으로 폐했던 목종을 죽였다. 이어 왕실의 부패를 척결하고 새로이 관제개혁을 실시하여 국왕의 측근 보좌기구인 은대(銀臺)와 중추(中樞) 남북원(南北院)을 일시에 혁파하고 대신 중대성(中臺省)을 설치했다. 이때 중대사(中臺使)에 올랐으며, 곧 이부상서참지정사(吏部尙書參知政事)가 되어 당시 제일의 실력자가 되었다.
체포와 최후
강조의 정변 이후 1010년 거란족이 세운 요나라의 황제 성종은 강조의 정변을 구실로 40만 대군을 이끌고 고려를 침략했다. 강조는 통주(지금의 평안북도 선천군)에서 30만의 군사로 거란군에 맞서 싸웠으나 패배하고 사로잡혔다.
장수 이현운과 함께 포로가 되어 잡혔다. 거란의 황제였던 성종은 강조의 인품을 보고 자신의 신하가 되어 권력을 누리자는 제안을 권유했으나 이현운만이 응하고 강조 장군은 끝까지 제안을 거절하여 처형되었다.
가족 관계
- 할아버지 : 강연창(康衍昌) - 우정승
- 할머니 : 백씨(百氏)
- 아버지 : 강태주(康泰周) - 형부상서
- 어머니 : 미상
- 숙부 : 강기주(康起珠) - 아찬
- 사촌 : 신주원부인 강씨(信州院夫人 康氏)
- 고모 : 태봉국(泰封國) 강씨왕후(康氏王后)
- 아들 : 강돈순(康敦順) - 대제학
- 딸 : 김진유(金振酉)에게 출가 - 김유신 13대손
강조가 등장한 작품
참고 문헌
- 《고려사》
- 《고려사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