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수도권 전철 중앙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도권 전철 중앙선
운행 계통도
기본 정보
운행 국가대한민국
종류운행 계통
체계수도권 전철
상태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참고
기점용산역 (경원선)
(서울특별시 용산구)
종점지평역 (중앙선)
(경기도 양평군)
역 수28
경유 노선경원선, 중앙선
개통일1978년 12월 9일(경원선 용산~청량리)
2005년 12월 16일(중앙선 청량리~덕소)
2007년 12월 27일(중앙선 덕소~팔당)
2008년 12월 29일(중앙선 팔당~국수)
2009년 12월 23일(중앙선 국수~용문)
2017년 1월 21일(중앙선 용문~지평)
폐지일2014년 12월 26일
운영자한국철도공사
노선 제원
영업 거리71.2 km
궤간1,435 mm(표준궤)
선로 수2
전철화가공전차선
교류 25,000 볼트, 60 Hz
신호 방식ATS
수도권 전철 중앙선 (용산-지평)
K110
용산 한국고속철도
K111
이촌
K112
서빙고
K113
한남
K114
옥수
K115
응봉
K116
왕십리 수인·분당선
성수지선
K117
청량리 한국고속철도 수인·분당선 경춘선
K118
회기 경춘선
K119
중랑
K120
상봉 한국고속철도 경춘선
K121
망우 경춘선
경춘선(춘천 방면)
K122
양원
K123
구리
K124
도농
K125
양정
K126
덕소 한국고속철도
K127
도심
K128
팔당
K129
운길산
K130
양수
K131
신원
K132
국수
K133
아신
K134
오빈
K135
양평 한국고속철도
K136
원덕
K137
용문
K138
지평
중앙선 안동 방면
경의중앙선 운행계통도

운행계통도(運行系統圖)
본 운행계통도는 2023년 12월 29일자 시간표
에 근거하여 주요 운행 계통만을 표기하였으며
중간 시종착역은 표기하지 않음

*운행계통 번호[1]
1 : 경의중앙선 본선 완행 (문산 - 지평)
2 : 경의중앙선 본선[2] 급행 (문산 - 용산 - 전역정차 - 용문)
3 : 경의중앙선 지선[3] 완행 (문산 - 서울)
4 : 경의중앙선 지선 급행 (문산 - 서울)
5 : 경의중앙선 본선 급행[4] (문산 - 전역정차 - 용산 - 용문)
6 : 문산~도라산 셔틀
7 : KTX
8 : ITX-청춘 (용산 - 춘천)
9 : 경춘선
0 : 중앙선 본선 무궁화호누리로

경의선 구간↓
K336 운천
K334 파주
K333 월롱
K331 금촌
K330 금릉
K329 운정
K328 야당
K327 탄현
K325 풍산
K324 백마
K323 곡산
K322 대곡
K321 능곡
서해선
K320 행신 한국고속철도
K319 강매
향동(미개통)
K316 DMC[9]
K315 가좌
경의선 구간↓
P314 신촌
P313 서울 한국고속철도
경의선 구간
용산선 구간↓
K312 공덕
K111 이촌
K113 한남
K114 옥수
K115 응봉
K119 중랑
K122 양원
K123 구리
K124 도농
K125 양정
K126 덕소 한국고속철도
K127 도심
K128 팔당
K130 양수
K131 신원
K132 국수
K133 아신
K134 오빈
K135 양평 한국고속철도
K136 원덕
K137 용문
K138 지평

범례

경의중앙선중앙선 운행계통
KTX 운행계통
ITX-청춘 운행계통
수인분당선 운행계통
서해선 운행계통
망우역-상봉역 배선도
K121
망우역
한국고속철도 승강장
K120
상봉역

수도권 전철 중앙선(首都圈 電鐵 中央線)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역경기도 양평군 지평역을 연결하는 수도권 전철운행 계통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일부이다. 통행방향은 좌측통행이다.

개요

[편집]

2005년 12월 16일 중앙선 청량리 - 덕소 구간이 복선 전철화되어 전동차가 운행하기 시작하였다. 이전에는 용산~왕십리~성북간 전동차[12]를 운영하였으나 이 때 폐지되었다. 그와 동시에 경원선 용산~청량리 구간의 공백을 메우기 위하여 전동차가 용산역까지 운행하게 되었다. 2007년 12월 27일에는 덕소역에서 팔당역까지 연장 개통하면서, 수도권 전철 노선도에 정식으로 중앙선이라는 명칭이 쓰였다. 2008년 12월 29일 팔당역에서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에 소재한 국수역까지 연장 개통되었고, 기존의 능내역은 선로 이설과 동시에 폐지되어 운길산역으로 대체되었다. 2009년 12월 23일 국수역에서 용문역까지의 구간이 개통되었고, 동시에 2008년 12월 29일에 문을 열지 않았던 신원역도 개통되었다. 2010년 12월 21일에는 경춘선, 7호선과 환승가능한 상봉역양평역~ 아신역 사이에 오빈역이 추가로 개통되었고 2014년 12월 27일에는 수도권 전철 경의선과 직결운행하게 되었다.

역사

[편집]

운영

[편집]
이촌역에 진입하는 용산행 32118 편성
자전거 거치대가 설치된 32101 편성

경유 노선

[편집]

운행

[편집]

경원선과 중앙선 선로를 복합적으로 운행하는 형태의 광역 철도이다. 중앙선복선 전철화에 맞추어 통근형 전동차를 운행하는데, 최근 국수역, 용문역까지 노선의 길이가 점차 길어짐에 따라 급행 계통을 도입하였다. 중앙선 선로의 경우에는 무궁화호 등의 열차들이 복합적으로 운행하기 때문에 선로 용량 포화가 우려되었으며, 경원선 선로의 경우 서울 도심인 점을 감안하여 선로 증설이 어려워 전반적으로 배차 간격이 제한적으로 운행되고 있었다.

급행

[편집]

출근 급행은 2008년 12월 1일부터 운행을 개시하였다. 초창기에는 도심역 출발이었다가, 2008년 12월 29일부터 국수역까지 연장되면서 기점이 양수역으로 변경되었으며, 2009년 12월 23일부터 용문역까지 연장되면서 기점이 양평역으로 변경되었다.

평일 출근 시간대에 양평에서 용산 방향으로 2회 운행했으며, 용산에서 양평 방향으로는 운행하지 않았다. 급행열차의 정차역은 다음과 같았다.

2010년 7월 17일부터는 경인선, 경부선 등지에서 용산삼각선을 경유하여 본 노선으로 직결 운행하는 주말 맞춤 특급열차가 운행하였으나, 이용 승객 저조로 2010년 12월 1일에 운행이 중지되었다.

2014년 12월 27일부터는 용산역에서 수도권 전철 경의선과 직결 운행 실시로 인해 경의중앙선에 일괄적으로 통폐합되었고 양방향 모두 급행열차가 운행하기 시작하였으며, 이제는 급행열차 또한 용문역에서 착발한다.

차량

[편집]

2007년까지는 1호선과 차량을 공유하였다. 새로 도입된 6000호대 전동차교류 전용으로서 중앙선에서만 운행되었다. 2007년 12월 27일 중앙선 복선 전철화팔당 연장에 맞추어 차량 편성을 10량 1편성에서 8량 1편성으로 다시 2011년 10월부터 8량 1편성에서 6량 1편성으로 감축하여 1호선과의 차량 운용 체계를 분리하였다. 이 차량들은 2012년 4월 2일까지 신이문역석계역 사이에 있는 이문차량사업소에 배속되어 있었으며, 차량 회송은 청량리역에서 광운대역까지 기존 경원선 구간을 사용하였으나 2012년 4월 3일 용문차량사업소 완공과 함께 소속이 이관되었다.[14] 2008년 말부터 시작된 차번 개정으로 기존 중앙선을 운행하던 모든 통근형 전동차는 321000호대로 차번을 개정하였다. 또한 2011년 10월 중앙선에 4개 편성이 부족해져 351000호대 전동차가 차출된 적이 있었으며, 2012년 6월 8량 편성으로 1일 58회를 운행함에 따라 경춘선에서 운행중이던 361000호대 전동차 2개 편성을 도색 개조를 거쳐서 차출된 적이 있었다.[15] 2014년 3월 1일부터 모든 편성이 8량으로 환원되었다. 승강장을 비롯한 모든 시설이 10량 1편성을 기준으로 건설된 상태이다.

역 목록

[편집]

역 번호 역명 로마자 역명 한자 역명 급행 환승 역간
거리
누적
거리
소재지
용산선 효창역 방면
경원선 K110 용산 Yongsan 龍山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
- 0.0 서울특별시 용산구
K111 이촌 Ichon 二村 수도권 전철 4호선 1.9 1.9
K112 서빙고 Seobinggo 西氷庫 1.7 3.6
K113 한남 Hannam 漢南 1.9 5.5
K114 옥수 Oksu 玉水 수도권 전철 3호선 1.6 7.1 성동구
K115 응봉 Eungbong 鷹峰 1.8 8.9
K116 왕십리 Wangsimni 往十里 서울 지하철 2호선
수도권 전철 5호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1.4 10.3
K117 청량리 Cheongnyangni 淸凉里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경춘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경원선
중앙선
2.4 12.7 동대문구
중앙선
K118 회기 Hoegi 回基 수도권 전철 1호선 1.4 14.1
K119 중랑 Jungnang 中浪 1.8 15.9 중랑구
K120 상봉 Sangbong 上鳳 서울 지하철 7호선
중앙선
망우선
0.8 16.7
K121 망우 Mangu 忘憂 수도권 전철 경춘선 0.6 17.3
K122 양원 Yangwon 養源 1.7 19.0
K123 구리 Guri 九里 수도권 전철 8호선 3.2 22.2 경기도 구리시
K124 도농 Donong 陶農 1.7 23.9 남양주시
K125 양정 Yangjeong 養正 3.7 27.6
K126 덕소 Deokso 德沼 2.3 29.9
K127 도심 Dosim 陶深 1.5 31.4
K128 팔당 Paldang 八堂 4.2 35.6
K129 운길산 Ungilsan 雲吉山 6.4 42.0
K130 양수 Yangsu 兩水 1.9 43.9 양평군
K131 신원 Sinwon 新院 4.7 48.6
K132 국수 Guksu 菊秀 2.9 51.5
K133 아신 Asin 我新 4.1 55.6
K134 오빈 Obin 梧濱 2.8 58.4
K135 양평 Yangpyeong 楊平 2.2 60.6
K136 원덕 Wondeok 元德 5.8 66.4
K137 용문 Yongmun 龍門 중앙선 4.8 71.2
K138 지평 Jipyeong 砥平 중앙선 3.8 75.0

승차량 변동

[편집]
구간 승차 인원[16]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범주구별 구간총량 역당평균[17] 구간총량 역당평균[17] 구간총량 역당평균[17] 구간총량 역당평균[17]
경원선 구간 43524 6218 45268 6467 46221 6603 50850 7264
구간 승차 인원[16]
2004년 2005년 2006년
범주구별 구간총량 역당평균[17] 구간총량 역당평균[17] 구간총량 역당평균[17]
전 구간 27884 3983 27927 1995 53205 3800
경원선 구간 27884 3983 27130 3876 27454 3922
중앙선 구간 미개통 미개통 18185
[18]
2598 25751 3679

각주

[편집]
  1. 임의로 지정
  2. 경의선, 용산선 구간만 급행 운행
    경원선, 중앙선 구간은 완행 운행
  3. 가좌 - 서울 구간은 원래 경의선 본선이지만 수도권 전철 체계에서는 경의중앙선의 지선으로 취급
  4. 경원선, 중앙선 구간만 급행 운행
    경의선, 용산선 구간은 완행 운행
  5. 운행 중지
  6. 1번 경의중앙선 본선 완행, 3번 경의선 지선 완행, 5번 중앙선 급행은 가좌역, 용산역 전까지 같이 모든 역에 정차해 동일 운행계통으로 취급한다.
  7. 공유구간
  8. 중앙선급행 상행 일부 열차가 본 역에서 종착
  9. 3번 경의선 지선 완행이 분리, 4번 경의선 지선 급행과 같이 서울역으로 간다.
  10. 용산역 이후 1번 경의중앙선 완행과 2번 경의선 급행은 동일 운행계통으로 취급한다. (용문역까지 같이 전역정차하는 완행 역할) 이후 5번 중앙선 본선 급행이 분리되어 중앙선 구간 '급행'을 담당
  11. [1] 일부 열차는 용산역에 착발
  12. 이 계통이 운행되던 시절에는 용산~왕십리~성북(현 광운대) 범위를 벗어나는 창동→성북→왕십리→용산 전동차도 가끔 운행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경원선#왕십리 경유 운행 계통 (폐지) 문서를 참고할 것.
  13. 코레일, 수도권 출퇴근 열차 대폭 증편《연합뉴스》2012.5.18
  14. 중앙선 용문차량사업소가 완공되기 이전에는 이문차량사업소에서 경정비·중정비를 모두 담당하였으나 용문차량사업소가 완공된 이후에는 주박·경정비는 용문차량사업소에서 이루어지며, 중정비는 이문차량사업소에서 이루어졌으나, 2014년 12월 27일 경의선과의 직결 운행 개시로 인하여 문산차량사업소로 이관되었다.
  15. 당시 차출된 편성은 36114편성과 36115편성이었으나 31190편성과 31191편성으로 개정하여 1호선으로 넘어갔고 현재 현대로템 창원공장에서 10량으로 증결되어 운행하고 있다.
  16. 원자료는 수도권 전철#이용 규모 주석 1번 참조
  17. 가시성을 높히기 위해, 역당 평균량은 이탤릭으로 처리하였다.
  18. 16일 평균값이다. 노선 전체에는 365일 값으로 전체 값을 나눠 반영하였다.

같이 보기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