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엘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c/c4/Ba%C3%ABl.png/220px-Ba%C3%ABl.png)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a/ae/01-Bael_seal.png/170px-01-Bael_seal.png)
바엘은 솔로몬의 소열쇠와 사이도모나키아 데모눔(그가 처음으로 언급된 악령)과 같은 악마학 도감, 그리고 지옥 사전에도 묘사된 악마이다. 그는 쉰 목소리를 가진 왕으로, 사람을 투명하게 만드는 힘을 가지고 있으며 66개의 악마 군단을 다스리는 것으로 묘사된다.[1][2][3][note 1] 솔로몬의 소열쇠에서 바엘은 고양이, 두꺼비, 인간, 이들의 조합 또는 기타 “다양한 형태”의 모습으로 나타난다고 묘사하고 있으며,[4] 사이도모나르키아 데모눔과 지옥 사전에서는 고양이, 두꺼비, 인간의 머리를 동시에 가지고 나타난다고 명시하고 있다.[2][3]
자크 콜린 드 플랑시는 바엘이 가나안의 신 바알과 같은 존재인지 의문시하는데, 이는 합리적인 가정이다.[5][6] 리브르 데 에스페리츠에서 바알은 오리엔스(동방, 즉 오리엔트를 관장하는 악마)를 다스리는 왕으로 묘사되며, 투명화의 힘과 다른 사람들의 호감을 얻을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지만 악마 군단은 6개(66개가 아닌)만 통치하는 것으로 묘사된다.[7] 리베르 오피시오룸 스피리툼에는 바알, 보알이 등장하는데, 이 역시 쉰 목소리를 가진 왕(또는 때로는 군인)으로 투명화 능력뿐만 아니라 과학과 사랑의 힘도 가지고 있다.[8][9] 슬론 MS 3824는 “악마 통치자들”에서 바알을 오리엔인들을 다스리는 왕으로 언급하며, 과학을 가르치고 (다시) 투명화를 부여하며 250개의 정령 군단을 통제하는 것으로 묘사한다.[10] 바엘은 후기 판에 등장 교황 아스타로스의 연감, (다시) 투명화와 인기를 포함하는 힘을 가진 왕자로,[11][12] 그랜드 그리모어에서 바엘 (바알 역)은 루시푸지 로포칼레의 부하로 나열된다.[13] 토마스 러드에 따르면 바엘은 셈하메 포라쉬 천사 베후야의 반대자이다.[14]
각주
[편집]인용주
[편집]참조주
[편집]- ↑ Peterson, Joseph H., 편집. (May 2001). 《The Lesser Key of Solomon: Lemegeton Clavicula Salomonis, Detailing the Ceremonial Art of Commanding Spirits Evil》 (영어). Maine: Weiser Books (2001에 출판됨). 7–8쪽. ISBN 1-57863-220-X.
- ↑ 가 나 Weyer, Johann (1563). Peterson, Joseph H., 편집. 《Pseudomonarchia Daemonum (Liber officiorum spirituum)》 (영어). Twilit Grotto: Esoteric Archives (2000에 출판됨). par. 1.
- ↑ 가 나 de Plancy, Jacques Collin (1853). 《Dictionnaire infernal》 (프랑스어). Paris: Sagnier et Bray. 66쪽.
- ↑ Peterson 2001, 7–10쪽.
- ↑ Gettings, Fred (1988). 〈Baal" and "Bael〉. 《Dictionary of Demons》 (영어). London: Guild publishing. 44, 45쪽.
- ↑ Bane, Theresa (2014년 1월 10일). 〈Baal〉. 《Encyclopedia of Demons in World Religions and Cultures》 (영어). Jefferson, North Carolina: McFarland (2012에 출판됨). 64–65쪽. ISBN 978-0786488940.
- ↑ Boudet, Jean-Patrice (2003). “Les who's who démonologiques de la Renaissance et leurs ancêtres médiévaux”. 《Médiévales. Langues, Textes, Histoire》. Médiévales (프랑스어) (Revues.org) (44). par. 5, 25, 28, 40. doi:10.4000/medievales.1019.
- ↑ Porter, John (2011). Campbell, Colin D., 편집. 《A Book of the Office of Spirits》 (영어). 번역 Hockley, Frederick. Teitan Press. 8–9, 22쪽. ISBN 978-0933429253.
- ↑ Porter, John; Weston, John (2015). Harms, Daniel; Clark, James R.; Peterson, Joseph H., 편집. 《The Book of Oberon: A Sourcebook for Elizabethan Magic》 (영어) fir판. Llewellyn Publications. 192–193, 204쪽. ISBN 978-0-7387-4334-9.
- ↑ Ashmole, Elias (2009). Rankine, David, 편집. 《The Book of Treasure Spirits》 (영어). Avalonia Books. 165쪽. ISBN 978-1-905297-27-6.
- ↑ Banner, James, 편집. (1999). 《The Grimoire of Pope Honorius》 (영어). 번역 Ch'ien, Kineta fir판. Seattle, Washington: Trident Books. 15쪽. ISBN 1879000091.
- ↑ Rankine, David; Barron, Paul Harry, 편집. (August 2013). 《The Complete Grimoire of Pope Honorius》 (영어) Fir판. London: Avalonia Books (2013에 출판됨). 221쪽. ISBN 978-1-905297-65-8.
- ↑ Waite, Arthur Edward (1913). 〈Part II, Chapter III: 'Concerning the Descending Hierarchy,' Section 1: 'The Names and Offices of Evil Spirits'〉. 《The Book of Ceremonial Magic》 (영어). Internet Sacred Text Archive (2002에 출판됨). 184–193쪽.
- ↑ Rudd, Thomas (2010). Skinner, Stephen; Rankine, David, 편집. 《The Goetia of Dr Rudd》 (영어). Golden Hoard Press (2007에 출판됨). 366–376쪽. ISBN 978-07387235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