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음반 판매량 인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음반 판매량 인증앨범, 싱글, DVD 등이 판매된 양을 집계하여 판매량을 인증하는 시스템이다.

많은 국가에서 실시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국가에서 미국 음반 산업 협회에서 사용하는 등급인 골드, 플래티넘, 다이아몬드를 사용하고 있으며, 일부 국가에서는 실버를 사용하기도 한다. "()"표시의 경우 해외 앨범 판매량 인증 기준이다.

인증 기준

[편집]

아래는 음반 판매량 인증을 실시하고있는 대표적인 국가는 미국영국이다. 표의 숫자는 실제 판매량이나 출하량이 기준으로 될 수 있는데, 숫자에 도달했을 때 인증하는 기준이다. 인증은 누적해서 부여할 수 있으며, 점점 윗단계 인증을 차례로 받는 것도 가능하다. 어떤 앨범이 플래티넘 인증을 기준을 넘었을 때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100만 장이 플래티넘 인증 기준으로 200만 장에 도달하면 "더블 플래티넘" 또는 "멀티 플래티넘"이라고 말한다.

음반

[편집]
국가/지역별 음반 판매량 인증 기준
국가/지역 인증 기관 인증 기준
실버 골드 플래티넘 다이아몬드 인증기반
아르헨티나 아르헨티나음반영상제작협회 (CAPIF)[4] 2001년 1월 이후 기준 20,000 40,000 250,000
오스트레일리아[I] 오스트레일리아 음반 산업 협회 (ARIA)[5] 1997년 이후 기준 35,000 70,000 출하량
오스트리아 국제음반산업협회– 오스트리아[6] 2013년 1월 이후 기준 7,500 15,000
벨기에 벨기에 엔터테인먼트 협회 (BEA)[7] 10,000
(15,000)
20,000
(30,000)
판매량
브라질 브라질 음반 산업 협회(ABPD)[8] 2010년 1월 이후 기준 40,000
(20,000)
80,000
(40,000)
300,000
(160,000)
판매량
불가리아 불가리아 음악 제작 협회(BAMP)[9][출처 필요] 15,000
10,000
30,000
20,000
캐나다 뮤직 캐나다[10][11] 40,000 80,000 800,000 출하량
칠레 국제음반산업협회– 칠레[12] 2010년 9월 이후 기준 5,000 10,000 출하량[13]
중국 국가광파전영전시총국[14] 20,000
(10,000)
40,000
(20,000)
판매량
콜롬비아 콜롬비아 음악 산업 협회 (ASINCOL)[15] 2003년 1월 이후 기준 10,000
(5,000)
20,000
(10,000)
200,000
(100,000)
체코 공화국 국제음반산업협회 – 체코 공화국[출처 필요] 6,000
(3,000)
12,000
(6,000)
덴마크[I] IFPI 덴마크[16] 2011년 1월 이후 기준 10,000 20,000 출하량
에콰도르 국제 음반 산업 협회 – 에콰도르 3,000 6,000
핀란드[I] Musiikkituottajat – IFPI 핀란드[17] 2010년 1월 이후 기준 10,000 20,000 판매량
프랑스 프랑스 음반 협회 (SNEP)[18] 2009년 7월 이후 기준 50,000 100,000 500,000 판매량
독일[I][III] 독일음악산업협회 (BVMI)[19] 100,000 200,000 출하량
그리스 IFPI 그리스[20] 6,000
(3,000)
12,000
(6,000)
출하량
홍콩 국제음반산업협회 – 홍콩[21] 2009년 1월 이후 기준 15,000
(7,500)
30,000
(15,000)
판매량
헝가리[IV] 헝가리음반산업협회 (MAHASZ)[22] 2010년 1월 이후 기준 5,000
(3,000)
10,000
(6,000)
아이슬란드 국제음반산업협회 – 아이슬란드[출처 필요] 2010년 6월 이후 기준 5,000 10,000
인도[V] 인도음악산업 (IMI)[23] 100,000
(4,000)
200,000
(6,000)
판매량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음반 산업 협회[출처 필요] 35,000
(10,000)
75,000
(15,000)
판매량
아일랜드 아일랜드 음악 산업 협회 (IRMA)[출처 필요] 7,500 15,000
이스라엘 이스라엘축음산업협회[24] 15,000
(10,000)
30,000
(20,000)
출하량
이탈리아 이탈리아 음반 산업 협회 (FIMI)[25] 2012년 1월 이후 기준 30,000 60,000 600,000 판매량
일본 일본 레코드 협회 (RIAJ)[26] 100,000 250,000 1,000,000
[XIX]
출하량
라트비아 라트비아 음악 산업 협회 (LaMPA)[출처 필요][27] 5,000 9,000
레바논[II] 국제음반산업협회 – 레바논[출처 필요] 20,000
(1,000)
40,000
(2,000)
말레이시아[VI] 말레이시아 레코드 협회 (RIM)[28] 2009년 7월 이후 기준 7,500 15,000 판매량
멕시코[VII] 멕시코축음제작협회 (AMPROFON)[29][30] 2009년 7월 이후 기준 30,000 60,000 300,000 출하량
네덜란드[VIII] NVPI[31] 25,000 50,000 출하량
뉴질랜드 뉴질랜드 음반 산업 협회 (RIANZ)[32] 7,500 15,000 출하량
노르웨이[I] 국제음반산업협회 – 노르웨이[33] 2007년 이후 기준 15,000 30,000 판매량
파라과이 국제음반산업협회 – 파라과이 5,000 10,000
페루 국제음반산업협회 – 페루 3,000 6,000
필리핀 필리핀 음반 산업 협회(PARI)[34] 7,500 15,000 150,000 판매량
폴란드[I][IX] 폴란드 축음기 협회 (ZPAV)[출처 필요] 2005년 이후 기준 15,000
(10,000)
30,000
(20,000)
150,000
(100,000)
판매량
포르투갈 포르투갈 음반 협회 (AFP)[35] 10,000 20,000
러시아 전국 축음기 제작 협회 (NFPF)[36] 2010년 이후 기준 25,000
(5,000)
50,000
(10,000)
100,000
(30,000)
판매량
싱가포르 싱가포르 음악 산업 협회 (RIAS)[37] 5,000 10,000 판매량
슬로바키아 국제음반산업협회 – 슬로바키아[38] 3,000
(1,000)
6,000
(2,000)
슬로베니아 국제음반산업협회 – 슬로베니아 5,000 10,000 25,000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아프리카 공화국 음반 산업 협회(RiSA) 20,000 40,000 출하량
스페인 스페인 음반 제작 협회 (PROMUSICAE)[39] 20,000 40,000 출하량
스웨덴[X][I] 국제음반산업협회 – 스웨덴[40][41] 2006년 11월 이후 기준 20,000 40,000 출하량
스위스 국제음반산업협회 – 스위스[42] 2006년 이후 기준 15,000 30,000
타이완 타이완 음반 산업 협회 (RIT)[43] 2009년 1월 이후 기준 15,000
(5,000)
30,000
(10,000)
판매량
타이 타이엔터테인먼트콘텐츠동업조합(TECA)[출처 필요] 10,000
(5,000)
20,000
(10,000)
판매량
터키 터키축음산업협회 (Mü-YAP)[44] 100,000
(5,000)
200,000
(10,000)
300,000
(20,000)
판매량
우크라이나 국제음반산업협회 – 우크라이나[45] 50,000
(25,000)
100,000
(50,000)
500,000
(100,000)
영국[XII][I] 영국음반산업협회 (BPI)[46] 60,000 100,000 300,000 출하량
미국[I] 미국 음반 산업 협회 (RIAA)[47] 500,000 1,000,000 10,000,000 출하량
우루과이 우루과이 음반 협회(CUD)[출처 필요] 2,000 4,000
베네수엘라 베네수엘라 음반 산업 협회 (APFV)[출처 필요] 5,000 10,000
국제/ 다국적 단체
유럽[XIII] 국제음반산업협회[48] 1,000,000 판매량
GCC[II] 국제음반산업협회[출처 필요] 10,000
(3,000)
20,000
(6,000)
판매량
남아프리카 공화국
레소토[XI]
남아프리카 공화국 음반 협회 (RISA)[49] 20,000 40,000
실버 골드 플래티넘 다이아몬드 인증기반
인증기준
"—" 표시는 해당인증이 없는 것을 뜻함.

^ I 오스트레일리아, 덴마크, 핀란드, 독일, 노르웨이, 폴란드, 스웨덴, 영국, 미국은 디지털 앨범 판매량도 포함한 수치이다.
^ II GCC 판매량은 바레인, 쿠웨이트, 오만,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를 합친 수치이다.[50]
^ III 현재 독일 인증 기준은 2003년 1월 1일 이후 발매된 앨범에 해당되는 기준으로, 1999년 9월 24일 이전 앨범들은 250,000(골드), 500,000(플래티넘)이다. 1999년 9월 25일부터 2002년 12월 31일까지는 150,000(골드), 300,000(플래티넘)이다. 또한 재즈 앨범은 10,000(골드), 20,000(플래티넘)이다.
^ IV 헝가리 판매량은 "팝" 앨범에만 해당하는 기준으로, 재즈, 스포큰 워드, 클래식, 월드 뮤직 앨범은 다음과 같은 인증을 한다: 1,500(골드) 3,000(플래티넘)
^ V 제시되어있는 인도 판매량 인증은 "힌디 영화"와 "국제" 앨범에만 해당되는 기준이다. 또한 기준은 여섯 개의 세부 부분으로 나눠 다음과 같이 인증한다: "힌디 영화" (100,000; 200,000); "리저널 영화" (50,000; 100,000); "리저널" (25,000, 50,000); "국가" (50,000; 100,000); "클래식" (15,000; 30,000); "국제" (4,000; 6,000).
^ VI 말레이시아 판매량 인증은 2009년 7월 1일 이후 기준으로, 10,000 (골드); 20,000(플래티넘) 인증을 한다. 디지털 판매량까지 합쳐 계산할때는 15,000 (골드); 30,000(플래티넘)으로 따지며, 디지털 판매량은 실제 판매량의 1/10으로 줄여서 계산한다(10 다운로드 = 1장).
^ VII 멕시코 판매량 인증은 피지컬 앨범 판매량을 참조한다. 디지털 판매 앨범의 경우 5,000 (골드); 10,000 (플래티넘)으로 인증한다. 2009년 7월 1일 이전에는 40,000 (골드); 80,000 (플래티넘); 400,000 (다이아몬드)이 기준이다. 또한 앨범 판매량인 인증을 더 자세하게 나타내기 위해 플래티넘과 골드 인증을 동시에 하기도하는데, 예를 들어 2×플래티넘+골드 인증같은 방식이다.
^ VIII 네덜란드 판매량은 "인기있는" 앨범에만 해당하는 기준이다. 재즈, 클래식, 월드 뮤직 앨범은 다음과 같은 인증을 적용한다: 10,000(골드) 20,000(플래티넘).
^ IX 폴란드 판매량은 "팝" 앨범에만 해당하는 기준이다. 재즈/클래식 앨범, 사운드트랙 앨범은 순서대로 골드, 플래티넘, 다이아몬드 순으로 인증한다: "재즈/클래식" (5,000; 10,000; 50,000), "사운드트랙" (10,000; 20,000; 100,000).
^ X 스웨덴 판매량은 "팝" 앨범에만 해당하는 기준이다. 재즈, 클래식, 포크 뮤직 앨범은 10,000(골드) 20,000(플래티넘) 인증을 적용한다.
^ XI 남아프리카 공화국 판매량은 2006년 8월 1일부터의 기준으로, 2006년 8월 1일 이전에 발매된 앨범에는 25,000(골드), 50,000(플래티넘) 인증을 적용했다.
^ XII 영국 음반 판매량 인증은 1979년부터 시작되었다. 1973년부터 1979까지는 앨범 판매 수익을 기준으로 인증했는데, 플래티넘 (£1,000,000), 골드 (1973년 4월부터 1974년 9월까지 £150,000, 1974년 9월부터 1977년 1월까지 £250,000, 1977년부터 1979년까지 £300,000), 실버 (1973년 4월부터 1975년 1월까지 £75,000, 1975년 1월부터 1977년 1월까지 £100,000, 1977년부터 1979년까지 £150,000).[51]
^ XIII 다움 국가는 실제 판매량을 기반으로 인증하는 나라이다: 오스트리아, 벨기에, 불가리아, 체코, 덴마크, 핀란드, 프랑스, 독일, 그리스, 헝가리,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이탈리아,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노르웨이, 폴란드, 포르투갈, 러시아, 세르비아, 슬로바키아,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터키, 영국.

싱글

[편집]
국가/지역별 싱글 판매량 인증 기준
국가/ 지역 인증 기관 인증 기준
실버 골드 플래티넘 다이아몬드 기반
오스트레일리아[XIII] 오스트레일리아 음반 산업 협회 (ARIA)[5] 35,000 70,000 출하량
오스트리아 국제음반산업협회– 오스트리아[6] 15,000 30,000
벨기에 벨기에 엔터테인먼트 협회(BEA)[7] 10,000
(15,000)
20,000
(30,000)
판매량
캐나다 뮤직 캐나다[10] 5,000 10,000 100,000 출하량
체코 공화국 국제음반산업협회 – 체코 공화국[출처 필요] 1,000 2,000
덴마크[XI] IFPI 덴마크[16] 2009년 4월 1일 이후 기준 15,000 30,000 출하량
핀란드[XI] Musiikkituottajat – IFPI 핀란드[17] 1994년 11월 1일 이후 기준 5,000 10,000 판매량
프랑스 프랑스 음반 협회 (SNEP)[18] 2009년 7월 1일 이후 기준 150,000 250,000 400,000 판매량
독일[XIII][XIV] 독일음악산업협회 (BVMI)[19] 150,000 300,000 출하량
그리스 IFPI 그리스[20] 3,000 6,000 출하량
홍콩 국제음반산업협회 – 홍콩[21] 15,000
(7,500)
30,000
(15,000)
판매량
헝가리 헝가리음반산업협회 (MAHASZ)[22] 2010년 1월 1일 이후 기준 1,500 3,000
아일랜드[XIII] 아일랜드 음악 산업 협회 (IRMA)[출처 필요] 7,500 15,000
이탈리아[XIII] 이탈리아 음반 산업 협회 (FIMI)[출처 필요] 2010년 7월 1일 이후 기준 15,000 30,000
일본 일본 레코드 협회 (RIAJ)[26] 100,000 250,000 1,000,000 출하량
말레이시아[XV] 말레이시아 레코드 협회 (RIM)[28] 2009년 7월 1일 이후 기준 7,500 15,000 판매량
네덜란드 NVPI[31] 10,000 20,000 출하량
뉴질랜드[XIII] 뉴질랜드 음반 산업 협회 (RIANZ)[32] 7,500 15,000 판매량
노르웨이[XIII] 국제음반산업협회 – 노르웨이[33] 2007년 이후 기준 5,000 10,000 판매량
필리핀 필리핀 음반 산업 협회 (PARI)[52] 2012년 1월 이후 기준 75,000 150,000 판매량
폴란드 폴란드 축음기 협회 (ZPAV)[출처 필요] 15,000 30,000 150,000 판매량
포르투갈 포르투갈 음반 협회 (AFP)[35] 10,000 20,000
싱가포르 싱가포르 음반 산업 협회 (RIAS)[37] 5,000 10,000 판매량
스페인 스페인 음반 제작 협회 (PROMUSICAE)[39] 20,000 40,000 판매량
스웨덴[XIII] 국제음반산업협회 – 스웨덴[40][41] 2010년 1월 이후 기준[53] 20,000 40,000 출하량
스위스 국제음반산업협회 – 스위스[42] 15,000 30,000
타이완 타이완 음반 산업 협회 (RIT)[43] 2009년 1월 1일 이후 기준 5,000 10,000 판매량
타이 타이엔터테인먼트콘텐츠동업조합(TECA)[출처 필요] 50,000
(20,000)
100,000
(40,000)
판매량
영국[XIII] 영국음반산업협회 (BPI)[46] 200,000 400,000 600,000 출하량
미국 미국 음반 산업 협회 (RIAA)[47] 500,000 1,000,000 출하량
국제/ 다국적 단체
남아프리카 공화국
레소토
남아프리카 공화국 음반 협회 (RISA)[49] 10,000 25,000
실버 골드 플래티넘 다이아몬드 기반
인증기준
"—" 표시는 해당인증이 없는 것을 뜻함.

^ XIII 오스트레일리아, 덴마크, 핀란드, 독일, 아일랜드, 이탈리아, 뉴질랜드, 노르웨이, 스웨덴, 영국은 디지털 다운로드를 포함해 인증함.
^ XIV 명시되어 있는 인증값은 2003년 1월 1일 이후 발매된 싱글부터 해당되는 기준이다. 그 전 싱글은 250,000 (골드); 500,000 (플래티넘)으로 인증. 또한 재즈 싱글은 10,000 (골드); 20,000 (플래티넘)으로 인증한다.
^ XV 말레이시아는 피지컬 싱글 판매량으로만 인증하며, 디지털 판매량까지 합쳐 계산할때는 15,000 (골드); 30,000 (플래티넘)으로 인증한다. 디지털 판매량은 실제 판매량의 1/10으로 줄여서 계산한다(10 다운로드 = 1장).

디지털 다운로드 싱글

[편집]
국가/지역별 디지털 싱글 판매량 인증 기준
국가/ 지역 인증 기관 인증 기준
실버 골드 플래티넘 기반
아르헨티나 아르헨티나 음반 비디오그램 제작 협회 (CAPIF)[출처 필요] 2010년 2월 이후 기준 10,000 20,000
브라질 브라질 음반 산업 협회 (ABPD)[8] 50,000
(30,000)
100,000
(60,000)
500,000
(250,000)
판매량
캐나다 뮤직 캐나다[10] 2010년 10월 이후 기준 40,000 80,000 800,000
칠레 국제음반산업협회 – 칠레[12] 2010년 9월 이후 기준 5,000 10,000
이집트 국제음반산업협회 – 이집트[출처 필요] 20,000 40,000
일본[XVIII] 일본 레코드 협회 (RIAJ)[26] 100,000 250,000 1,000,000
[XIX]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레코드 협회 (RIM)[28] 2009년 7월 1일 이후 기준 75,000 150,000 판매량
멕시코 멕시코축음제작협회 (AMPROFON)[29] 2011년 9월 1일 이후 기준 40,000[출처 필요] 80,000[출처 필요] 400,000[출처 필요]
러시아 전국 축음기 제작 협회 (NFPF)[36] 50,000 100,000
스페인 스페인 음반 제작 협회 (PROMUSICAE)[39] 20,000 40,000
미국 미국 음반 산업 협회 (RIAA)[47] 500,000 1,000,000 10,000,000
베네수엘라 베네수엘라 음반 산업 협회 (APFV) [출처 필요] 2013년 1월 이후 기준 100,000 500,000
"—" 표시는 해당인증이 없는 것을 뜻함.

^ XVIII 일본 인증은 컴퓨터 다운로드와 벨소리도 참조한다.
^ XIX 일본 피지컬과 디지털 다운로드가 1,000,000만 장이 팔렸을 때 "다이아몬드"라 하지 않고 "밀리언"이라고 칭한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Certification Criteria”.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America. 2012년 6월 22일에 확인함. 
  2. “History of the Awards”.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America. 2007년 7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6월 22일에 확인함. 
  3. “Certified Awards Search”. British Recorded Music Industry. 2017년 10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6월 22일에 확인함. 
  4. “CAPIF – Representando a la Industria Argentina de la Música” (스페인어). Argentine Chamber of Phonograms and Videograms Producers. 2007년 10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2일에 확인함. 
  5. “Australian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오스트레일리아 음반 산업 협회. 2008년 6월 2일에 확인함. 
  6. “IFPI Austria – Verband der Österreichischen Musikwirtschaft” (독일어). International Federation of the Phonographic Industry – Austria. 2013년 1월 28일에 확인함. 
  7. “Musique – Dossiers – Belgian Entertainment Association”. 《belgianentertainment.be》 (프랑스어). Belgian Entertainment Association. 2011년 7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월 9일에 확인함. 
  8. “ABPD | Associação Brasileira de Produtores de Disco” (포르투갈어). Association of Brazilian Phonograph Producers. 2010년 12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6일에 확인함. 
  9. “::: Българска асоциация на музикалните продуценти” (불가리아어). Bulgarian Association of Music Producers. 2008년 6월 6일에 확인함. 
  10. “Certification Definitions”. Music Canada. 2011년 11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7월 10일에 확인함. 
  11. “CD Awards Program Changes Announced”. 캐나다 음반 산업 협회. 2006년 4월 25일. 2009년 6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9월 18일에 확인함.  These unit levels were reduced from 50,000 for gold and 100,000 for platinum for releases since 1 May 2008
  12. “IFPIChile” (스페인어). International Federation of the Phonographic Industry – Chile. 2008년 6월 6일에 확인함. 
  13. David Ponce (2010년 7월 8일). “Los bemoles del negocio musical”. 《www.lamusica.emol.com》. 2011년 7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6월 3일에 확인함. Trucos de la industria como publicitar las categorías de "disco de oro" o "disco de platino" por discos no efectivamente vendidos a público, sino distribuidos a las tiendas, también están registrados en estas páginas. 
  14. “国家广播电影电视总局” (중국어). State Administration of Radio, Film, and Television. 2008년 6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9일에 확인함. 
  15. “Piracy, Progress Marked Music in 2003”. 《Billboard》 (New York, N.Y.: VNU Business Publications USA) 116 (2): 26. 2004년 1월 10일. ISSN 0006-2510. 2010년 7월 29일에 확인함. 
  16. “IFPI Danmark – IFPI.dk” (덴마크어). IFPI Denmark. 2011년 1월 7일에 확인함. 
  17. “IFPI” (영어핀란드어). Musiikkituottajat – IFPI Finland. 2010년 6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29일에 확인함. 
  18. “Disque en France : Les certifications” (프랑스어). Syndicat national de l'édition phonographique. 2011년 8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1월 14일에 확인함. 
  19. “Richtlinien für die Verleihung von Gold/Platin Schallplatten und Awards” (독일어). Bundesverband Musikindustrie. 2010년 3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3월 28일에 확인함. 
  20. “Μουσική: μία παγκόσμια βιομηχανία δημιουργίας” (그리스어). Association of Greek Producers of Phonograms (AGPP). 2012년 3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6일에 확인함. 
  21. “RULES OF IFPI HKG GOLD DISC AWARD”. International Federation of the Phonographic Industry (Hong Kong Group) Limited. 2007년 10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1월 5일에 확인함. 
  22. “Mi számít arany- és platinalemeznek? – Arany- és platinalemezek – MAHASZ – Magyar Hanglemezkiadók Szövetsége” [What is gold and platinum? – Gold and Platinum – MAHASZ – Hungarian Association record] (헝가리어). Magyar Hanglemezkiadók Szövetsége. 2010년 8월 1일에 확인함. 
  23. “THE INDIAN MUSIC INDUSTRY – Home Page”. Indian Music Industry. 2008년 5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6일에 확인함. 
  24. “אלבומי זהב ואלבומי פלטינה – 15 אלף ו-30 אלף עותקים”. 2014년 7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8월 31일에 확인함. 
  25. “FIMI – Federazione Industria Musicale Italiana – Certificazioni”. 《fimi.it》. 2013년 1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3월 8일에 확인함. 
  26.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Japan”.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Japan. 2008년 6월 6일에 확인함. 
  27. “Latvian officials attend cyber-crime summit”. IFPI. 2007년 8월 31일. 2007년 9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7일에 확인함. 
  28. “Changes to Sales Award Certifications”.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Malaysia. 2009년 7월 1일. 2012년 7월 29일에 원본 문서 (Membership/login required)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1일에 확인함. ... the RIM Council has decided to introduce 2 new certification categories and to revise the existing physical sales certification levels, effective 1st July 2009, as follows:-
    1. Digital Sales (NEW) Gold Award: 75,000 units Platinum Award: 150,000 units
    2. Combined Physical and Digital Sales (NEW) Gold Award: 15,000 units Platinum Award: 30,000 units
    3. Physical Sales (EXISTING) Gold Award: Revised from 10,000 units to 7,500 units Platinum Award: Revised from 20,000 units to 15,000 units For the 2 new categories above, every 10 digital downloads of a song (i.e. music recordings in the form of full track, mobile ring tone, ring back tone, etc) shall be calculated as 1 unit/album.
      |quote=에 수평 탭 문자가 있음(위치 206) (도움말)
  29. “Certificaciones” [Certifications] (스페인어). Mexican Association of Phonograph Producers. 2010년 7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월 6일에 확인함. 
  30. “Top 100 Mexico: Los más vendidos” [Top 100 Mexico: Bestsellers] (PDF) (스페인어). Mexican Association of Phonograph Producers. 2011년 12월 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6월 28일에 확인함. 
  31. “NVPI, de branchevereniging van de entertainmentindustrie – English” (영어네덜란드어). NVPI. 2007년 11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2일에 확인함. 
  32. “RIANZ”. 뉴질랜드 음반 산업 협회. 2011년 7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7일에 확인함. 
  33. “IFPI Norsk platebransje” (노르웨이어). 국제음반산업협회 – 노르웨이. 2007년 6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6일에 확인함. 
  34. “PARI description”. 2011년 10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19일에 확인함. 
  35. “AFP – Associação Fonográfica Portuguesa”. 《afp.org.pt》 (포르투갈어). 2012년 6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월 23일에 확인함. 
  36. “National Federation of Phonogram Producers (NFPF)”. NFPF. 2010. 2012년 11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에 확인함. 
  37.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Singapore) representing record companies in Singapore”.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Singapore. 2012년 7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6일에 확인함. 
  38. “Oficiálne stránky IFPI – Národná skupina Slovenskej republiky” (슬로바키아어). International Federation of the Phonographic Industry – Slovakia. 2000년 10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6일에 확인함. 
  39. “Promusicae” (스페인어). Producers of Spanish Music. 2008년 1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6일에 확인함. 
  40. “IFPI” (스웨덴어). 국제음반산업협회 – 스웨덴. 2013년 1월 28일에 확인함. 
  41. “Swedish Certification-award-levels”. IFPI Sweden. 2012년 4월 13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8월 15일에 확인함. 
  42. “The Official Swiss Charts and Music Community”. 《swisscharts.com》. 2011년 1월 4일에 확인함. 
  43. “RIT (IFPI TAIWAN) 白金 (金) 唱片簡介” [RIT (IFPI TAIWAN) platinum (gold) LP Profile] (중국어). 타이완 음반 산업 협회. 2011년 8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1일에 확인함. 
  44. “MÜ-YAP Bağlantılı Hak Sahibi Fonogram Yapımcıları Meslek Birliği” (튀르키예어). 터키축음산업협회. 2008년 6월 6일에 확인함. 
  45. “Certification Award Full List – OCTOBER 07” (PDF). IFPI. 2008년 2월 2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7일에 확인함. 
  46. “The BPI”. 영국음반산업협회. 2012년 3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2일에 확인함. 
  47. “RIAA –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America”. 미국 음반 산업 협회. 2008년 5월 26일에 확인함. 
  48. “Platinum Europe Awards – Terms and Conditions”. 《ifpi.org》. 2009년 10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9월 27일에 확인함. 
  49. “RiSA”. 남아프리카 공화국 음반 협회. 2008년 6월 6일에 확인함. 
  50. “IFPI Middle East Award application form” (PDF). 2012년 8월 1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19일에 확인함. 
  51. “Certified Awards – A Timeline” (PDF). British Phonographic Industry. 2011년 8월 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2월 1일에 확인함. 
  52. “International Certification Award levels – IFPI” (PDF). IFPI. 2010년 2월 1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1일에 확인함. 
  53. “Guide för Guld- och platinacertifiering” [Guide for Gold and Platinum certifications] (PDF) (스웨덴어). IFPI Sweden. 2015년 9월 2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2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