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새재
이 문서는 위키백과의 편집 지침에 맞춰 다듬어야 합니다. (2022년 1월 29일) |
대한민국의 명승 | |
종목 | 명승 (구)제32호 (2007년 12월 17일 지정) |
---|---|
면적 | 3,768,307m2 |
소유 | 문경시 외 |
관리 | 문경시 |
참고 | 자연유산 / 명승 / 자연경관 |
위치 | |
주소 |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새재로 1156, 등 (상초리) |
좌표 | 북위 36° 45′ 32.7″ 동경 128° 03′ 22.7″ / 북위 36.759083° 동경 128.056306° |
정보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
나라 | 대한민국 |
---|---|
위치 |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상초리 일원 |
좌표 | 북위 36° 46′ 01″ 동경 128° 04′ 27″ / 북위 36.766944444444° 동경 128.07416666667° |
유형 | 도립공원 |
상태 | 운영 중 |
면적 | 5.3km2 |
운영 | 문경새재관리사무소 |
웹사이트 | |
https://www.gbmg.go.kr/tour/contents.do?mId=0101010100 |
문경새재(聞慶새재, 영어: Mungyeongsaejae Pass)는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문경새재도립공원에 있는 백두대간의 조령산 마루를 넘는 재이다.
1974년에 지방기념물 제18호, 1981년 6월 4일에는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지난 1999년부터 학술연구용역 및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체계적으로 자연생태공원을 조성하고 2007년 10월 18일 개장했다.
역사
[편집]예로부터 교통과 국방의 요충지였다. 문경새재 길은 부산 동래에서 한양으로 가는 최단거리였다. 특히, 영남지방의 선비들은 추풍령은 추풍낙엽처럼 떨어질까봐, 죽령은 대나무처럼 미끄러질까봐 가지 않고, 문경새재를 통해서 과거시험을 보러 갔다고 한다.[1]
명칭
[편집]새재 또는 한자어로 조령(鳥嶺)이라고도 하는데, 이 말은 새도 날아 넘기 힘든 고개라는 데에서 유래되었다.[2] 고대에는 '초점'(草岾)으로 불렸는데, 이를 한글로 옮기면 새재이다. 이후 새재를 한자표기로 변경하면서 조령으로 표기하였다.
명칭에 관한 다른 설로는 문경읍 관음리의 하늘재와 괴산군 연풍면의 이우리재(이화령) '사이에 난 고개'라는 설과 '새로 생긴 고개'라는 설이 있다. 또 옛날 이곳에 억새가 많아서 붙여졌다는 설도 있다.[1]
문화재
[편집]예로부터 한강과 낙동강 유역을 잇는 영남대로 상의 가장 높고 험한 고개로 사회 문화 경제의 유통과 국방상의 요충지였다. 임진왜란 뒤에 제 1관문 주흘관, 제 2관문 조곡관, 제 3관문 조령관의 3관문(사적 제 147호)을 설치하여 국방의 요새로 삼았다.[3][4]
관문뿐만 아니라 조선시대에 출장을 가는 관리들에게 숙·식·의를 제공했던 조령원터, 도적들이 숨어 있다가 지나는 사람들을 덮쳤다는 마당바위, 조선시대 구 경상감사가 신 감사에게 업무를 인수인계해주던 교귀정이 있다. 또 조선 후기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는 ‘산불됴심(산불조심)’이 적힌 표지석도 있다. 현재 남아 있는 고어로 된 한글 비석 4점 가운데 국한문 혼용이 아닌 것은 이 비석이 유일하다.[1]
현지 안내문
[편집]문화재청
[편집]『문경새재』는 조선 태종 14년(1414년) 개통된 관도 벼슬길로 영남과 기호지방을 잇는 영남대로 중 가장 유명하며 조선시대 옛길을 대표한다.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초점(草岾)’으로, <동국여지승람>에는 ‘조령(鳥嶺)’으로 기록된 길로 조선시대 영남도로에서 충청도(한강유역권)와 경상도(낙동강유역권)를 가르는 백두대간을 넘는 주도로의 역할을 했다.[5]
문경새재는 제1관문 주흘관, 제2관문 조곡관, 제3관문 조령관 등 3개의 관문과 원(院)터 등 주요 관방시설과 정자와 주막 터, 성황당과 각종 비석 등이 옛길을 따라 잘 남아 있고, 경상도 선비들의 과거길로서 수많은 설화가 내려오고 있는 등 역사적, 민속적 가치가 큰 옛길이다.[5]
주흘산, 조령산의 다양하고 아름다운 식생 경관과 옛길 주변의 계곡과 폭포, 숲길 등 경관 가치가 뛰어나며, ‘옛길 걷기 체험“, ”과거길 재현“ 등 옛길과 관련한 다양한 체험 행사가 매년 개최되고 있어 현대인들이 조선시대 옛길 문화 및 선비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훌륭한 옛길 자원이다.[5]
안내판
[편집]문경새재[6]
문경새재는 조선의 옛길을 대표하는 관도(官途)로, 영남에서 한양으로 가는 가장 빠른 길이며, 과거길에 나서는 선비들이 주로 이용하였다. 『세종실록지리지』에는‘풀(억새)이 우거진 고개’라는 뜻의‘초점(草岾)’으로, 『동국여지승람』에는‘새들도 쉬어넘는 힘든 고개’라는 뜻의‘조령(鳥嶺)’으로 기록되어 있다.[6] 조선 태종 14년(1414)에 문경새재 계곡을 따라 제3관문(조령관)까지 650m의 고갯마루를 개척해 문경에서 괴산, 연풍을 잇는 대로(大路)가 개통되었다. 조선시대 영남대로에서 충청도(한강유역권)와 경상도(낙동강유역권)를 가르는 백두대간을 넘는 주도로 기능을 했다.[6] 문경새재는 산성을 쌓는데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어 제1관문 주흘관, 제2관문 조곡관, 제3관문 조령관 등 3개의 관문(사적 제147호)과 국립 여관에 해당되는 원(院)터 등 주요 관방시설이 위치하고 있다. 이 외에도 정자, 주막터, 성황당 그리고 각종 비석 등이 옛길을 따라 잘 남아 있다. 경상도 선비들의 과거길로서 수 많은 설화가 내려오고 있는 등 역사적, 민속적 가치가 큰 조선 최고의 옛길이다.[6] 문경새재 일대는 주흘산, 조령산의 다양하고 아름다운 식생 경관과 옛길 주변의 계곡과 폭포, 숲길 등 경관 가치가 뛰어나다. 현재‘옛길 걷기체험’등 옛길과 관련한 다양한 체험 행사가 매년 개최되고 있어 현대인들의 조선시대 옛길 문화 및 선비 문화를 향유할 수 있다.[6]
관문
[편집]사진
[편집]-
문경새재관리사무소
-
옛길박물관
-
문경새재오픈세트장 매표소 앞 출입문
-
교귀정(交龜亭)
-
문경관문 조령관
-
문경관문 주흘관
-
선비의 상
-
문경새재 입구
같이 보기
[편집]참고 문헌
[편집]각주
[편집]관련 자료
[편집]- 문경새재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