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서봉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훈일등 서봉대수장
훈이등 서봉장 겸 훈일등 부장(上)
훈삼등 서봉중수장(中)
훈사등 서봉소수장(下)
훈오등 서봉소수장(上)
훈육등 서봉소수장(下)
훈일등 서봉대수장을 패용한 순정효황후

서봉장(瑞鳳章)은 대한제국의 훈장 가운데 하나이며 여성에게 수여되는 훈장이다.

역사

[편집]

서봉장은 1897년(광무 1년) 3월 30일에 조령을 통하여 대궐의 여관에게 수여하는 훈장으로 만들어졌다.[1] 1898년(광무 2년) 9월 19일에 내·외명부의 작위를 가진 여성에게도 수여하라는 조령이 내려졌고,[2] 1899년(광무 3년) 3월 30일대한제국 칙령 제20호로 〈훈장 조례〉(勳章條例)를 개정하면서 제정되었다. 훈등은 일등에서 육등까지로 구분되어 내명부(內命婦), 외명부(外命婦) 가운데서 현숙한 덕행과 특별한 공로가 있는 사람에게 황후의 휘지(徽旨)를 거쳐 수여하였다.[3] 훈장의 명칭과 의미는 예로부터 내려오는 궁중의 예장 봉황관(禮裝鳳凰冠)에서 취한 것이다.[2]

형태

[편집]

훈일등 서봉대수장은 정장(正章)과 부장(副章)으로 구성된다. 정장의 장(章), 즉 문채의 재질은 금(金)이고, 길이가 2치(寸) 5푼(分), 너비가 1촌 5푼이며, 그 모양은 한쌍의 봉황이 마주본 형상이며 금질의 구룡쌍봉관(九龍雙鳳冠)의 꼭지와 연결되어 있다. 고리도 금질이며 그 모양은 정원형이다. 훈일등 서봉대수장을 패용할 때는 분홍색 바탕에 백선(白線) 간도직(間道織)으로 이루어진 대수(大綬)를 오른쪽 어깨에서 왼쪽 옆구리에 두른 다음에 끝부위에서 교차하여 오얏꽃을 천으로 접어달고 그 밑에 정장을 달았으며, 부장은 왼쪽 가슴에 단다. 약수(略綬)의 재질은 금이며 그 모양은 원형으로 분홍색 바탕에 비상하는 봉황의 형상이 새겨져 있고 외변선을 둘렀다.[4]

훈이등 서봉장은 훈일등 서봉대수장의 부장을 겸한다. 재질은 금과 은이고, 지름은 2치이며, 중앙의 문양은 금색의 비상하는 봉황이다. 봉황 둘레에는 남색 바탕 위로 ‘셔봉부쟝’이 적혀있고, 그 외변에는 백색 광선이 여섯 방향으로 뻗어나오며 그 사이 마다에는 녹색 잎이 배치되어 있다. 광선의 끝에는 홍색의 별이 원형으로 표현되었다. 한편 뒷면의 패침은 재질이 은이며 중앙과 좌우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4]

훈삼등 서봉중수장의 문채의 재질과 모양은 훈일등과 동일하나 길이가 1촌 5푼, 너비가 1촌이고, 꼭지가 구룡단봉관(九龍單鳳冠), 고리가 타원형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4] 패용할 때는 문채를 정중앙에 끼운 중수(中綬)를 목 밑에 건다.[5]

훈사등 서봉소수장은 재질이 모두 금이며 규격과 모양은 훈삼등과 동일하나 고리가 정원형이다. 훈오등 서봉소수장은 재질, 규격과 모양이 훈사등과 동일하나 고리의 재질은 은이다. 훈육등 서봉소수장은 재질이 모두 은이고 모양은 훈오등과 동일하다.[4] 패용할 때 훈사등에서 훈육등까지는 천을 사선꼴로 접은 삼각형의 소수(小綬)로서 왼쪽 가슴에 단다.[5] 다만 훈사등의 소수 표면에는 천으로 꽃을 접어 다는 차이가 있다.[4]

훈일등 수장자 명단

[편집]
연도 일자 이름 가족 관계 국적 출처
1905년
(광무 9년)
10월 5일 순헌황귀비 엄씨 고종의 귀비 대한제국의 기 대한제국 실록
연원군부인 김씨 의친왕 이강의 비 대한제국의 국기 대한제국
1907년
(광무 11년)
1월 24일 황태자비 윤씨 순종의 계후 대한제국의 국기 대한제국 실록
1908년
(융희 2년)
7월 14일 하루코 황후 메이지 천황의 황후 일본 제국의 기 일본 제국 실록
사다코 황태자비 요시히토 황태자의 비 일본 제국의 국기 일본 제국
이토 우메코 태자태사 이토 히로부미의 처 일본 제국의 국기 일본 제국
1909년
(융희 3년)
7월 21일 나시모토노미야 이쓰코 나시모토노미야 모리마사 왕의 비 일본 제국의 국기 일본 제국 실록
1909년
(융희 3년)
8월 27일 의창부부인 남씨 여은부원군 민태호의 처 대한제국의 국기 대한제국 실록
정경부인 김씨 영평군 이경응의 처 대한제국의 국기 대한제국
정경부인 홍씨 영돈녕사사 윤철구의 처 대한제국의 국기 대한제국
경흥부부인 유씨 해풍부원군 윤택영의 처 대한제국의 국기 대한제국
정경부인 이씨 완흥군 이재면의 처 대한제국의 국기 대한제국
10월 21일 소네 미츠코 통감부 통감 소네 아라스케의 처 일본 제국의 국기 일본 제국 실록
1910년
(융희 4년)
5월 9일 노부코 내친왕 아사카노미야 야스히코 왕의 비 일본 제국의 국기 일본 제국 실록
후사코 내친왕 기타시라카와노미야 나루히사 왕의 비 일본 제국의 국기 일본 제국
마사코 내친왕 다케다노미야 쓰네히사 왕의 비 일본 제국의 국기 일본 제국
8월 1일 데라우치 타키코 통감부 통감 데라우치 마사타케 일본 제국의 국기 일본 제국 실록
8월 21일 정경부인 홍씨 청안군 이재순의 처 대한제국의 국기 대한제국 실록
정경부인 서씨 완순군 이재완의 처 대한제국의 국기 대한제국
정경부인 조씨 태자소사, 내각총리대신 이완용의 처 대한제국의 국기 대한제국
정경부인 심씨 궁내부대신 민병석의 처 대한제국의 국기 대한제국
정경부인 김씨 시종원경 윤덕영의 처 대한제국의 국기 대한제국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고종실록 (1897년 3월 30일). “훈장 제도에서 서봉 훈장 한 종류를 더 두다”. 국사편찬위원회. 2013년 1월 9일에 확인함. 
  2. 고종실록 (1898년 9월 19일). “서봉 훈장을 6등급으로 나누어 작위를 가진 부인들 중 공로가 있는 사람에게 표창하도록 하다”. 국사편찬위원회. 2012년 4월 27일에 확인함. 
  3. 고종실록 (1899년 3월 30일). “훈장 조례를 개정하다”. 국사편찬위원회. 2012년 4월 27일에 확인함. 
  4. 이강칠 (1999). 《대한제국시대 훈장제도》. 백산출판사. 105 ~ 107쪽. 
  5. 고종실록 (1900년 4월 17일). “훈장 조례를 반포하다”. 국사편찬위원회. 2012년 4월 25일에 확인함. 

참고 문헌

[편집]
  • 《고종실록》
  • 《순종실록》
  • 이강칠 (1999), 《대한제국시대 훈장제도》, 백산출판사. ISBN 9788977392595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