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랴코프 작용
끈 이론 |
---|
폴랴코프 작용(영어: Polyakov action)은 보손 끈을 비선형 시그마 모형으로 나타내는 작용이다. 난부-고토 작용과 고전적으로 동일하나, 양자화가 수월하다.
정의
[편집]목표 공간(target space)의 좌표는 로, 끈의 세계면의 좌표는 로 쓰자. 목표 공간의 계량 텐서를 로 쓰자. 끈의 장력을 로 쓰자. 폴랴코프 작용은 세계면의 계량 텐서 와 세계면 좌표에서 목표 공간으로의 매장 (embedding) 에 대한 범함수로, 다음과 같다.
- .
대칭
[편집]폴랴코프 작용은 다음과 같은 세 대칭을 지닌다.
이 가운데 로런츠 대칭을 제외한 나머지 두 대칭은 게이지 대칭이다. 즉, 물리적인 의미를 갖지 않는다.
게이지 대칭을 고정시켜 세계면 계량 텐서를
의 꼴로 놓을 수 있다. 이 게이지 조건을 등각 게이지 조건(conformal gauge condition)이라고 한다. 등각 게이지에서 폴랴코프 작용은 다음과 같다.
- .
여기서 , 이다.
운동 방정식
[편집]등각 게이지 폴랴코프 작용의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단순한 파동 방정식이다.
여기에 게이지 고정을 위한 구속 조건(constraint)을 부여하여야 한다. 보조장 에 대한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
등각 게이지에서는 이는 다음과 같다.
- .
이들은 에너지-운동량 텐서 가 사라지는 것과 동등하며, 이를 방식 전개하면 비라소로 대수를 얻는다. 이는 양자화한 뒤 (연산자 순서에 대한 모호함을 제외하고는) 실재하는 상태에 대한 구속으로 적용하여야 한다.
폴랴코프 경로 적분
[편집]고전적 폴랴코프 작용을 양자화하려면 경로 적분에 넣어야 한다. 이를 폴랴코프 경로 적분(Polyakov path integral)이라고 한다. 즉 (윅 회전을 하면) 그 분배 범함수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는 좌표()와 세계면 계량 텐서()에 따르는 (유클리드) 폴랴코프 작용이다. 그러나 이는 미분동형사상 및 바일 변환이라는 게이지 대칭을 지니므로, 게이지를 고정시켜야 한다. 예를 들어 등각 게이지를 적용하여 (국소적으로) 계량 텐서를 단위행렬()로 놓자. 게이지를 고정시키면 이에 따라 파데예프-포포프 유령장이 생기는데, 그 작용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는 벡터 유령, 는 무(無)대각합 대칭텐서 유령이다. 이를 계( system)이라고 하며, 보존 끈의 임계 차원(D=26)의 계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략, 바일 변칙을 없애기 위하여 적절한 수의 실재하는 마당 로 계의 비라소로 중앙원소를 상쇄하여야 한다.) 반면 초끈의 경우는 보존 끈의 게이지 대칭 밖에 초대칭이 있으므로, 이에 해당하는 유령인 계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초끈의 임계 차원은 D=10이다.
역사
[편집]폴랴코프 작용은 라르스 브링크 (Lars Brink), 파올로 디베키아 (Paolo Di Vecchia), 폴 호 (Paul S. Howe)[1], 스탠리 데서 (Stanley Deser), 브루노 추미노[2] 가 1976년에 도입하였다. 알렉산드르 마르코비치 폴랴코프가 이를 이용한 경로 적분을 도입하였다.[3][4]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Lars Brink, Paolo Di Vecchia, Paul S. Howe (1976년 12월 20일). “A locally supersymmetric and reparametrization invariant action for the spinning string”. 《Physics Letters B》 65 (5): 471471–474. doi:10.1016/0370-2693(76)90445-7.
- ↑ Deser, Stanley; Bruno Zumino (1976년 12월 6일). “A complete action for the spinning string”. 《Physics Letters B》 65 (4): 369–373. doi:10.1016/0370-2693(76)90245-8.
- ↑ Polyakov, Alexander M. (1981년 7월 23일). “Quantum geometry of bosonic strings”. 《Physics Letters B》 103 (3): 207–210. doi:10.1016/0370-2693(81)90743-7.
- ↑ Polyakov, Alexander M. (1981년 7월 23일). “Quantum geometry of fermionic strings”. 《Physics Letters B》 103 (3): 211–213. doi:10.1016/0370-2693(81)907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