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형대수학 에서 코시-슈바르츠 부등식 (Cauchy-Schwarz不等式, 영어 : Cauchy–Schwarz inequality ) 또는 코시-부냐콥스키-슈바르츠 부등식 (Cauchy-Буняковский-Schwarz不等式, 영어 : Cauchy–Bunyakovsky–Schwarz inequality )은 내적 공간 위에 성립하는 부등식 이다.[ 1] 이 부등식은 무한 급수 · 함수 공간 · 확률론 의 분산 과 공분산 등에 널리 응용된다.
정의
K
∈
{
R
,
C
}
{\displaystyle \mathbb {K} \in \{\mathbb {R} ,\mathbb {C} \}}
가 실수체 또는 복소수체 라고 하자.
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K
{\displaystyle \mathbb {K} }
-벡터 공간
V
{\displaystyle V}
V
{\displaystyle V}
위의 양의 준정부호 에르미트 형식
⟨
,
⟩
{\displaystyle \langle ,\rangle }
(
K
=
R
{\displaystyle \mathbb {K} =\mathbb {R} }
일 때, 이는 양의 준정부호 쌍선형 형식 과 같다). 즉, 다음이 성립한다. (특히, 첫째 벡터에 대하여 반선형, 둘째 벡터에 대하여 선형이라고 하자.)
⟨
w
,
α
u
+
v
⟩
=
α
⟨
w
,
u
⟩
+
⟨
w
,
v
⟩
=
⟨
α
u
+
v
,
w
⟩
¯
∀
α
∈
K
,
u
,
v
∈
V
{\displaystyle \langle w,\alpha u+v\rangle =\alpha \langle w,u\rangle +\langle w,v\rangle ={\overline {\langle \alpha u+v,w\rangle }}\qquad \forall \alpha \in \mathbb {K} ,\;u,v\in V}
그렇다면, 코시-슈바르츠 부등식 에 의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
⟨
u
,
v
⟩
|
2
≤
⟨
u
,
u
⟩
⟨
v
,
v
⟩
∀
u
,
v
∈
V
{\displaystyle |\langle u,v\rangle |^{2}\leq \langle u,u\rangle \langle v,v\rangle \qquad \forall u,v\in V}
증명: [ 2]
만약
⟨
u
,
u
⟩
=
⟨
v
,
v
⟩
=
0
{\displaystyle \langle u,u\rangle =\langle v,v\rangle =0}
이며
K
=
R
{\displaystyle \mathbb {K} =\mathbb {R} }
일 경우, 양의 준정부호 조건에 따라
0
≤
1
2
⟨
u
+
v
,
u
+
v
⟩
=
⟨
u
,
v
⟩
=
−
1
2
⟨
u
−
v
,
u
−
v
⟩
≤
0
{\displaystyle 0\leq {\frac {1}{2}}\langle u+v,u+v\rangle =\langle u,v\rangle =-{\frac {1}{2}}\langle u-v,u-v\rangle \leq 0}
이므로 자명하게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이 성립한다. 마찬가지로, 만약
⟨
u
,
u
⟩
=
⟨
v
,
v
⟩
=
0
{\displaystyle \langle u,u\rangle =\langle v,v\rangle =0}
이며
K
=
C
{\displaystyle \mathbb {K} =\mathbb {C} }
일 경우, 양의 준정부호 조건에 따라
0
≤
1
2
⟨
u
+
v
,
u
+
v
⟩
=
Re
⟨
u
,
v
⟩
=
−
1
2
⟨
u
−
v
,
u
−
v
⟩
≤
0
{\displaystyle 0\leq {\frac {1}{2}}\langle u+v,u+v\rangle =\operatorname {Re} \langle u,v\rangle =-{\frac {1}{2}}\langle u-v,u-v\rangle \leq 0}
0
≤
1
2
⟨
u
−
i
v
,
u
−
i
v
⟩
=
Im
⟨
u
,
v
⟩
=
−
1
2
⟨
u
+
i
v
,
u
+
i
v
⟩
≤
0
{\displaystyle 0\leq {\frac {1}{2}}\langle u-iv,u-iv\rangle =\operatorname {Im} \langle u,v\rangle =-{\frac {1}{2}}\langle u+iv,u+iv\rangle \leq 0}
이므로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이 성립한다. (양의 정부호 에르미트 형식 의 경우
⟨
u
,
u
⟩
=
⟨
v
,
v
⟩
=
0
{\displaystyle \langle u,u\rangle =\langle v,v\rangle =0}
은
u
=
v
=
0
{\displaystyle u=v=0}
을 함의하며 이는 자명하게
⟨
u
,
v
⟩
=
0
{\displaystyle \langle u,v\rangle =0}
을 함의하므로 위와 같은 과정이 필요 없다.) 따라서,
⟨
u
,
u
⟩
{\displaystyle \langle u,u\rangle }
또는
⟨
v
,
v
⟩
{\displaystyle \langle v,v\rangle }
가운데 하나가 양의 실수라고 가정할 수 있다. 편의상
⟨
v
,
v
⟩
>
0
{\displaystyle \langle v,v\rangle >0}
라고 하자.
양의 준정부호 조건에 의하여, 임의의
λ
∈
K
{\displaystyle \lambda \in \mathbb {K} }
에 대하여
0
≤
⟨
u
−
λ
v
,
u
−
λ
v
⟩
=
⟨
u
,
u
⟩
+
|
λ
|
2
⟨
v
,
v
⟩
−
λ
⟨
u
,
v
⟩
−
λ
¯
⟨
v
,
u
⟩
{\displaystyle 0\leq \langle u-\lambda v,u-\lambda v\rangle =\langle u,u\rangle +|\lambda |^{2}\langle v,v\rangle -\lambda \langle u,v\rangle -{\bar {\lambda }}\langle v,u\rangle }
이다. 이제,
λ
=
⟨
v
,
u
⟩
⟨
v
,
v
⟩
{\displaystyle \lambda ={\frac {\langle v,u\rangle }{\langle v,v\rangle }}}
를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0
≤
⟨
u
,
u
⟩
−
|
⟨
u
,
v
⟩
|
2
⟨
v
,
v
⟩
{\displaystyle 0\leq \langle u,u\rangle -{\frac {|\langle u,v\rangle |^{2}}{\langle v,v\rangle }}}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을 얻는다.
|
⟨
u
,
v
⟩
|
2
≤
⟨
u
,
u
⟩
⋅
⟨
v
,
v
⟩
{\displaystyle |\langle u,v\rangle |^{2}\leq \langle u,u\rangle \cdot \langle v,v\rangle }
또한, 만약
⟨
,
⟩
{\displaystyle \langle ,\rangle }
가 양의 정부호 라면,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에서 등호가 성립할 필요 충분 조건 은
u
{\displaystyle u}
와
v
{\displaystyle v}
일차 종속 인 경우이다.
부정부호의 경우
일반적으로, 부정부호 에르미트 형식 의 경우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은 성립하지 않는다. 다만, 민코프스키 공간 의 시간꼴 벡터의 경우 다음이 성립한다.
구체적으로, 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실수 벡터 공간
V
{\displaystyle V}
V
{\displaystyle V}
위의 쌍선형 형식
⟨
,
⟩
{\displaystyle \langle ,\rangle }
. 또한,
{
v
∈
V
:
⟨
v
,
v
⟩
<
0
}
∪
{
0
}
{\displaystyle \{v\in V\colon \langle v,v\rangle <0\}\cup \{0\}}
은 1차원 부분 벡터 공간이다.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3] :185, §10.2, Theorem 88(ii) (정부호의 경우에 대하여 부호가 반대인 것에 주의.)
∀
u
,
v
∈
V
:
min
{
⟨
u
,
u
⟩
,
⟨
v
,
v
⟩
}
≤
0
⟹
|
⟨
u
,
v
⟩
|
2
≥
⟨
u
,
u
⟩
⟨
v
,
v
⟩
∀
u
,
v
∈
V
{\displaystyle \forall u,v\in V\colon \min\{\langle u,u\rangle ,\langle v,v\rangle \}\leq 0\implies |\langle u,v\rangle |^{2}\geq \langle u,u\rangle \langle v,v\rangle \qquad \forall u,v\in V}
증명:
만약
max
{
⟨
u
,
u
⟩
,
⟨
v
,
v
⟩
}
≥
0
{\displaystyle \max\{\langle u,u\rangle ,\langle v,v\rangle \}\geq 0}
이라면 (좌변은 음이 아닌 실수, 우변은 양이 아닌 실수이므로) 부등식이 자명하게 성립한다. 따라서
⟨
u
,
u
⟩
{\displaystyle \langle u,u\rangle }
와
⟨
v
,
v
{\displaystyle \langle v,v}
둘 다 양이 아닌 실수라고 가정하자. 또한, 만약
u
{\displaystyle u}
와
v
{\displaystyle v}
가 선형 종속 이라면 이 부등식은 자명하게 (등식으로) 성립한다. 따라서 이 둘이 선형 독립 이라고 가정하자. 이에 따라, 가정에 따라
Span
{
u
,
v
}
{\displaystyle \operatorname {Span} \{u,v\}}
는
⟨
w
,
w
⟩
≥
0
{\displaystyle \langle w,w\rangle \geq 0}
인 원소
w
∈
Span
{
u
,
v
}
∖
{
0
}
{\displaystyle w\in \operatorname {Span} \{u,v\}\setminus \{0\}}
를 포함한다. 편의상 이것이
w
=
u
+
λ
0
v
{\displaystyle w=u+\lambda _{0}v}
라고 가정하자.
실수
λ
∈
R
{\displaystyle \lambda \in \mathbb {R} }
에 대하여, 2차 다항식
p
(
λ
)
=
⟨
u
+
λ
v
⟩
=
λ
2
⟨
v
,
v
⟩
+
2
λ
⟨
u
,
v
⟩
+
⟨
u
,
u
⟩
{\displaystyle p(\lambda )=\langle u+\lambda v\rangle =\lambda ^{2}\langle v,v\rangle +2\lambda \langle u,v\rangle +\langle u,u\rangle }
를 생각하자. 그렇다면 이는
λ
=
0
{\displaystyle \lambda =0}
에서 양이 아닌 실수이지만,
λ
=
λ
0
{\displaystyle \lambda =\lambda _{0}}
에서는
p
(
λ
)
{\displaystyle p(\lambda )}
가 음이 아닌 실수이게 된다. 즉,
p
(
λ
)
=
0
{\displaystyle p(\lambda )=0}
는 적어도 하나의 근을 갖는다. 이것이 성립할 필요 충분 조건 은 판별식
D
=
⟨
u
,
v
⟩
2
−
⟨
u
,
u
⟩
⟨
v
,
v
⟩
{\displaystyle D=\langle u,v\rangle ^{2}-\langle u,u\rangle \langle v,v\rangle }
이 음이 아닌 실수인 것이며, 따라서
⟨
u
,
v
⟩
2
≥
⟨
u
,
u
⟩
⟨
v
,
v
⟩
{\displaystyle \langle u,v\rangle ^{2}\geq \langle u,u\rangle \langle v,v\rangle }
이다.
또한, 2차원 민코프스키 공간 의 경우는 위와 같은 조건을 생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실수 벡터 공간
V
{\displaystyle V}
V
{\displaystyle V}
위의 쌍선형 형식
⟨
,
⟩
{\displaystyle \langle ,\rangle }
. 또한,
{
v
∈
V
:
⟨
v
,
v
⟩
<
0
}
∪
{
0
}
{\displaystyle \{v\in V\colon \langle v,v\rangle <0\}\cup \{0\}}
은 1차원 이하 부분 벡터 공간이며,
{
v
∈
V
:
⟨
v
,
v
⟩
>
0
}
∪
{
0
}
{\displaystyle \{v\in V\colon \langle v,v\rangle >0\}\cup \{0\}}
역시 1차원 이하 부분 벡터 공간이다.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
u
,
v
∈
V
:
|
⟨
u
,
v
⟩
|
2
≥
⟨
u
,
u
⟩
⟨
v
,
v
⟩
∀
u
,
v
∈
V
{\displaystyle \forall u,v\in V\colon |\langle u,v\rangle |^{2}\geq \langle u,u\rangle \langle v,v\rangle \qquad \forall u,v\in V}
증명:
임의의 두 벡터
u
,
v
∈
V
{\displaystyle u,v\in V}
에 대하여, 항상 다음 두 경우 가운데 하나가 성립한다.
만약
min
{
⟨
u
,
u
⟩
,
⟨
v
,
v
⟩
}
≤
0
{\displaystyle \min\{\langle u,u\rangle ,\langle v,v\rangle \}\leq 0}
일 때: 위의 정리를 사용한다.
만약
max
{
⟨
u
,
u
⟩
,
⟨
v
,
v
⟩
}
≥
0
{\displaystyle \max\{\langle u,u\rangle ,\langle v,v\rangle \}\geq 0}
일 때: 위의 정리를
(
V
,
−
⟨
,
⟩
)
{\displaystyle (V,-\langle ,\rangle )}
에 사용한다.
예
낮은 차원
V
=
K
n
{\displaystyle V=\mathbb {K} ^{n}}
일 때,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은 다음과 같은 꼴이 된다.
|
a
¯
1
b
1
+
a
¯
2
b
2
+
⋯
+
a
¯
n
b
n
|
2
≤
(
|
a
1
|
2
+
|
a
2
|
2
+
⋯
+
|
a
n
|
2
)
(
|
b
1
|
2
+
|
b
2
|
2
+
⋯
+
|
b
n
|
2
)
∀
a
i
,
b
i
∈
K
{\displaystyle \left|{\bar {a}}_{1}b_{1}+{\bar {a}}_{2}b_{2}+\dotsb +{\bar {a}}_{n}b_{n}\right|^{2}\leq \left(|a_{1}|^{2}+|a_{2}|^{2}+\dotsb +|a_{n}|^{2}\right)\left(|b_{1}|^{2}+|b_{2}|^{2}+\dotsb +|b_{n}|^{2}\right)\qquad \forall a_{i},b_{i}\in \mathbb {K} }
특히,
n
=
2
{\displaystyle n=2}
인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부등식을 얻는다.
|
a
¯
c
+
b
¯
d
|
2
≤
(
|
a
|
2
+
|
b
|
2
)
(
|
c
|
2
+
|
d
|
2
)
∀
a
,
b
,
c
,
d
∈
K
{\displaystyle |{\bar {a}}c+{\bar {b}}d|^{2}\leq (|a|^{2}+|b|^{2})(|c|^{2}+|d|^{2})\qquad \forall a,b,c,d\in \mathbb {K} }
특히, 2차원 민코프스키 공간 에 대한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은 다음과 같다.
(
a
c
−
b
d
)
2
≥
(
a
2
−
b
2
)
(
c
2
−
d
2
)
∀
a
,
b
,
c
,
d
∈
R
{\displaystyle (ac-bd)^{2}\geq (a^{2}-b^{2})(c^{2}-d^{2})\qquad \forall a,b,c,d\in \mathbb {R} }
르베그 공간
가측 공간
X
{\displaystyle X}
위의
p
=
2
{\displaystyle p=2}
르베그 공간
V
=
L
2
(
X
;
K
)
{\displaystyle V=\operatorname {L} ^{2}(X;\mathbb {K} )}
은
K
{\displaystyle \mathbb {K} }
-힐베르트 공간 을 이룬다. 이 경우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은 다음과 같다.
|
∫
f
(
x
)
¯
g
(
x
)
d
x
|
2
≤
∫
|
f
(
x
)
|
2
d
x
⋅
∫
|
g
(
x
)
|
2
d
x
∀
f
,
g
∈
L
2
(
X
;
K
)
{\displaystyle \left|\int {\overline {f(x)}}g(x)\,dx\right|^{2}\leq \int \left|f(x)\right|^{2}\,dx\cdot \int \left|g(x)\right|^{2}\,dx\qquad \forall f,g\in \operatorname {L} ^{2}(X;\mathbb {K} )}
이는 횔더 부등식 의 특수한 경우이다.
C* 대수
C* 대수
A
{\displaystyle A}
위의 상태
f
:
A
→
C
{\displaystyle f\colon A\to \mathbb {C} }
가 주어졌을 때,
⟨
a
,
b
⟩
=
f
(
a
∗
b
)
∀
a
,
b
∈
A
{\displaystyle \langle a,b\rangle =f(a^{*}b)\qquad \forall a,b\in A}
는
A
{\displaystyle A}
위의 양의 준정부호 에르미트 형식 을 이룬다. 이에 대한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은 다음과 같다.
|
f
(
a
∗
b
)
|
2
≤
f
(
a
∗
a
)
f
(
b
∗
b
)
∀
a
,
b
∈
A
{\displaystyle |f(a^{*}b)|^{2}\leq f(a^{*}a)f(b^{*}b)\qquad \forall a,b\in A}
역사
오귀스탱 루이 코시 . 코시는 유한 차원의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을 최초로 증명하였다.
빅토르 부냐콥스키. 부냐콥스키는 무한 차원의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을 최초로 증명하였다.
헤르만 아만두스 슈바르츠 . 슈바르츠는 무한 차원의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을 독자적으로 재발견하였다.
1821년에 오귀스탱 루이 코시 가 유한 차원 벡터 공간에 대한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을 증명하였다.[ 4]
1859년에 빅토르 야코블레비치 부냐콥스키(러시아어 : Ви́ктор Я́ковлевич Буняко́вский , 우크라이나어 : Ві́ктор Я́кович Буняко́вський 빅토르 야코비치 부냐코우시키[* ] , 1804~1889)가 무한 차원의 경우를 증명하였다.[ 5] 그러나 부냐콥스키의 논문은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이후 1888년에 헤르만 아만두스 슈바르츠 가 무한 차원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을 재발견하였다.[ 6]
1896년에 앙리 푸앵카레 가 “슈바르츠 부등식”(프랑스어 : inégalité de Schwarz )이라는 용어를 최초로 사용하였다.[ 7] :73, §II.2 이후 이 부등식은 서유럽 및 미국에서 통상적으로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반면, 동유럽에서는 부냐콥스키의 업적을 기려 이를 “부냐콥스키 부등식” 또는 “코시-부냐콥스키-슈바르츠 부등식” 등으로 일컫는다.
각주
외부 링크